데이터
[ELK] Elasticsearch 활용과 Rest API
[ELK] Elasticsearch 활용과 Rest API
2021.07.14REST API 이번에는 elasticsearch의 활용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그 전에 elasticsearch의 노드와 통신을 하는 방식을 설명하겠습니다. elasticsearch는 REST API를 제공하여 클러스터와 통신을 합니다. 간단히 REST API를 소개하고 데이터를 다뤄보겠습니다. REST API는 2000년도에 로이 필딩 (Roy Fielding)의 논문에서 공개되었습니다. 웹을 관통하는 HTTP의 주요 저자였던 필딩은 웹의 설계에 비해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는 점을 보완하고 최대한 활용하기위해 공개하였습니다. 웹페이지 제작이나 API개발을 해보신 분들은 REST API에 대해 알 것이라 생각합니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많은 수의 웹페이지는 REST API를 통한 페이지간의 통신을 활용하..
[AI Rush] Naver AI Rush 2021 Round 1 / 2 후기
[AI Rush] Naver AI Rush 2021 Round 1 / 2 후기
2021.07.07AI Rush 2021 지난 5얼 18일부터 6월 4일까지 AI Rush 2021 라운드 1이 진행되었습니다. 시험기간이 겹치지 않아서 많은 시간을 투자할 수 있었습니다. 우선 기본적으로 기밀 유지 서약을 했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드리기는 어려운 점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우선 대회의 진행은 정해진 경로를 통해 접근이 가능한 깃허브 리포지토리와 네이버 자체의 NSML 플랫폼을 통해 진행되었습니다. 대회 진행은 네이버 AI lab의 전폭적인 지원을 통해 진행되었습니다. Naver의 Tesla V100 그래픽 카드를 인당 4장 정도까지 지원해주었습니다. (더 지원해줬을 수도 있지만 제 기술부족으로 4장까지만 동시에 진행해본 것 같습니다.) 전체적인 방식은 코드를 작성하여 네이버 서버로 보내면 ..